문제

풀이 코드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let answer = arr.filter((item) => item % divisor === 0).sort((a, b) => a - b);
  return answer.length === 0 ? [-1] : answer;
}

 

풀이 과정

간단히 구현할 수 있었다.

filter를 이용해 나누어 떨어지는 요소들만 새로 배열을 생성하고, 해당 배열을 sort 함수를 통해 오름차순으로 정렬했다.

 

문제

 

풀이 코드

// 방법 1. 아스키 코드로 변환하여 계산
 function solution(strings, n) {
   return strings.sort().sort((a, b) => a.charCodeAt(n) - b.charCodeAt(n));
 }

// 방법 2. localeCompare 메서드 이용
function solution(strings, n) {
  return strings.sort((a, b) => {
    return a[n] === b[n] ? a.localeCompare(b) : a[n].localeCompare(b[n]);
  });
}

 

풀이 과정

두가지 방법으로 풀었다.

 

첫번째 방법은 우선 문자열 배열 자체를 오름차순 정렬을 수행하고,

곧바로 다시 sort 함수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문제에서 주어진 인덱스의 아스키 값( charCodeAt ) 을 비교하여 재 정렬 하도록 했다.

 

두번째 방법은 localeCompare 함수를 이용하여, 문자열 비교를 통해 정렬 하였다, 여기서 주어진 인덱스의 값이 같다면, 문자열 자체를 비교하여 판단하게 하였고, 같지 않다면, 해당 문자열의 인덱스 기준으로 비교하도록 하였다.

 

두가지 방법다 검색을 통해 해결 했지만, localCompare 함수는 정말 매력적이라고 느껴졌다.

문제

 

풀이 코드

function solution(a, b) {
  let min = a < b ? a : b;
  return [...Array(Math.abs(a - b) + 1).keys()]
    .map((item) => item + min)
    .reduce((sum, item) => sum + item, 0);
}

 

풀이 과정

범위의 값을 저장 하기위해 검색을 했다

keys() 함수를 쓰면, 0부터 차례대로 연속된 수를 저장할수 있다!

Array의 크기를 두수의 차이 + 1 만큼 지정해주고,

 

a 와 b 중 최솟값을 삼항연산자로 구한다음, map 과 reduce 를 이용해 수의 합을 구했다.

 

채점 통과가 되긴 했으나, 시간이 좀 오래걸렸다 아무래도 함수를 많이 사용하고 그래서 그런거같다

다른사람의 코드를 참고해야만 할거 같아서 제출하고 다른 풀이를 봤다

 

다른사람의 코드

function adder(a, b){
	return (a+b)*(Math.abs(b-a)+1)/2;
}

할말을 잃었다

 

두수의 합 * 두수 사이의 범위 크기 / 2

 

와;; 이거만 하면 배열을 생성할 일도 없고 그냥 바로 계산이 가능하다

갓갓

문제

 

풀이 코드

function solution(s) {
  let sLower = s.toLowerCase().split('');
  let pCount = sLower.filter((item) => item === 'p').length;
  let yCount = sLower.filter((item) => item === 'y').length;

  return pCount === yCount;
}

 

풀이 과정

우선, 문자열내의 모든 요소를 소문자로 변경해주고 해당 문자열을 배열로 만들었다. ( toLowerCase, split )

그리고 나서 filter 함수를 통해 p 와 y 만 저장한 배열을 각각 생성하고, 해당 배열의 길이를 각각의 변수에 저장했다.

 

그리고 그냥 같은지 비교한 값을 반환시켰다

 

이거 제출하고 나서 생각한건데 변수의 쓰임세와 상수의 쓰임세를 각각 구분해서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해당 코드에서 변수는 사실 필요없다.

 

모두 const 로 상수정의 하는게 바람직함

 

다른사람의 코드

// 1 번
function numPY(s){
    return s.toUpperCase().split("P").length === s.toUpperCase().split("Y").length;
}

// 2 번
function numPY(s) {
  return s.match(/p/ig).length == s.match(/y/ig).length;
}

1 번의 풀이처럼 한줄로 간단하게, 그리고 split 만으로 바로 구분해서 풀이할수가 있다. 이건 생각 못했다

 

2 번 풀이의 경우 댓글들을 보니 p 나 y 가 아예 없을경우, 오답이 발생한다고 나와있어서 정답은 아닌거 같지만 그럼에도 가져온 이유는

math 라는 함수를 처음보기 때문이다. math 라는 함수도 공부해 봐야 겠다

문제

 

풀이 코드

function solution(s) {
  return s.split('').sort().reverse().join('');
}

 

풀이 과정

이제 조금씩 자바스크립트 고차함수들에 익숙해지는것을 느낀다!

 

split 으로 각 글자를 나누어 배열로 만들고,

sort 로 오름차순 정렬!

reverse 로 순서를 뒤집어 내림차순 정렬!

join 으로 배열을 문자열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