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제적 시나리오 정보는 [ 더보기 ] 클릭

더보기

전체적 시나리오

상위 도메인 : kst20.com

상위 DNS IP : 192.168.20.131

위임 도메인 : hjm.kst20.com

위임 DNS IP : 192.168.20.132

위임 도메인의 관리 도메인 : ns.hjm.kst20.com

위임 도메인의 관리 IP : 192.168.20.136

1. 상위 DNS 설정

1) 상위 도메인 에서 [ 새 위임 ]선택

2) 위임할 도메인을 설정한다 [ hjm ]

3) 이름 서버에 추가를 선택

4) 하위 도메인 서버의 IP 를 기재하고, 도메인 네임 [ hjm.kst20.com ] 을 등록한다.

5) 정상적으로 추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6) 마침을 누른다.

7) 설정된 위임 DNS 를 확인한다.


2. 하위 DNS 설정

- 하위 DNS 에 [ hjm.kst20.com ] 을 등록하고, ns 도메인을 추가한다 ( 192.168.20.136 )

3. 확인

- 하위 서버에서 [ ns.hjm.kst20.com ] 과 [ ns.kst20.com ] 검색

: [ns.hjm.kst20.com] 은 관리하는 DNS 이기 때문에 검색이 되지만, 상위 DNS 인 [ ns.kst20.com ] 은 검색이 되지 않는다

 

- 상위 서버에서 [ ns.hjm.kst20.com ] 과 [ ns.kst20.com ] 검색

 

: 상위 서버는 하위 도메인을 관리하고, 하위 도메인은 [ ns.hjm.kst20.com ] 을 관리하기 때문에 정삭적으로 IP 주소를 반환한다

1. master 서버 설정

1) DNS 속성

2) 메세지를 전송할 slave IP 주소 설정

- 편집을 들어가서

- IP 주소를 추가해준다.

3) 적용 , 확인

적용을 하면 마스터 쪽에서 해야할 설정은 끝이난다.

2. Slave 서버 설정

1) 보조영역 추가

- 주 영역이 아닌 보조 영역으로 새로 추가해준다.

2) DNS 명 기재

- 반드시 master 서버의 DNS 명과 같게 설정해야한다

3) master 서버의 IP 주소 명시

- master 서버의 IP 주소를 명시해 준다

4) 동작 확인

- master 서버의 DNS 정보 ( zone 파일 정보 ) 가 Slave 서버에 복사됨을 확인

- nslookup 을 수행해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통신 과정

1. www.axy.org 를 관리하는 네임서버의 IP주소를 [ abc.com ] 에게 질의

2. root dns 에게 org를 관리하는 네임서버의 IP 주소를 질의

3. ORG 의 IP 주소를 [ abc.com ]에게 응답

4. axy.org 를 관리하는 네임서버의 IP주소를 org 에게 질의

5. axy.org의 ip주소를 abc.com 에게 응답

6. www.axy.org 의 ip 주소 질의

7.www.axy.org 의 ip 주소 응답

8. 로컬 네임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www.axy.org 의 ip 주소 응답

9. 클라이언트와 www.axy.org 통신


윈도우 서버에서 DNS 실습

1. 서버관리자 에서 역할 및 기능 추가 수행

2. DNS 서버 설치 / windows 배포 서비스 설치

3. 재부팅시 자동 실행 설정

4. 설치

5. 설치 완료

6. 방화벽에서 DNS 서비스 확인

7. 관리도구 - 서비스 에서 dns 활성화 확인

8. 기본 dns 서버 변경

: ip 주소는 자동할당 되기 때문에 DNS 주소만 현재 할당된 ip 주소로 변경한다

9. nslookup 명령어로 DNS 확인

: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 기본값으로 캐시 DNS 서버 로 설정된다.


gw DNS 설정 (dns 서버 등록하기)

1. DNS 설정하기 위해 [도구 - DNS] 설정

- 설치된 이후 관리를 위해서는 [ 도구 ] 에서 설정

2. 정방향 조회 영역 에서 새영역 클릭

3. 새영역 설정

주영역 - Master 서버

보조영역 - Slave 서버

[ kst20.com ]으로 설정한다

영역파일 - zone 파일

- 동적 업데이트 허용 안함 체크

- kst20.com 생성확인

- 새호스트 선택

- gaytway 도메인을 설정한다

- 위와같이 설정됨을 확인할수 있다.

- nslookup 명령어로 [ gw.kst20.com ] 의 IP 주소를 확인

- 정상 작동

전반적인 시나리오

1. test 사용자 : 엔지니어, ftp를 통해 자료를 배포 받는 사람

2. FTP는 지정된 사용자만 접속 가능 ( 지정 사용자 : test )

3. 보안상 위협으로 FTP 접속자는 chroot 적용

4. 파일 배포를 위해 /home/pub 디렉토리를 개인 홈디렉토리에 mount


1) test 계정 생성

2) user_list 파일 수정

- test 계정 추가

3) vsftpd.conf 파일 수정

- 유저 리스트에 적힌 사용자만 접속 가능하다

4) chroot 설정

- chroot_list 파일에 등록된 사람들만 chroot 가 적용된다

5) chroot_list 파일 수정

- test 계정만 chroot 가 적용된다

6) 확인

1. root 계정은 접속 불가 확인

- test 사용자만 접속이 가능하므로, root는 접속이 안된다

2. test 계정은 접속 가능 확인

- 접속이 성공적으로 된다

3. chroot 적용 확인

- 로그인후 pwd 로 확인해보면 현재 위치가 root 위치임을 알수 있다.

4. mount 하여 확인

- test 디렉터리에 /pub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mount 한다

5. /home/pub 디렉터리에 파일 생성후 , ftp 로 /home/test/pub 에 파일생성되는지 확인

- 정상적으로 mount 되어 파일이 생성된다.

1. st 그룹 읽기 권한 , 쓰기 거부 권한 / st01 계정에 읽기 쓰기 권한

1) st 그룹에는 읽기 권한 과 쓰기 거부 할당

- 허용 보다 거부가 우선시 적용된다는 경고창이 나온다.

2) st01 사용자는 st 그룹에 포함되지만, 해당 사용자는 쓰기 권한도 할당

3) st01 계정으로 로그인

4) 폴더에 파일 생성

5) st 그룹에 속하지만 st01이 아닌 st02로 확인

- 권한이 없어 파일생성이 불가능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