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etwork Topology ( 네트워크 토폴로지 )

- 데이터의 흐름을 표현한것 

-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링크 , 노드 들의 구성 형태를 의미

 

1) Bus type

 

Bus 형

- 노드의 신호가 전체 노드에 전달된다

- 노드의 추가 및 삭제가 용이하고 특정 노드의 장애 발생시에도 다른 노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대역폭을 공유하기 때문에 노드의 수가 증가됨에 때라 트래픽이 증가되어 충돌가능성이 증가된다

 

2) Ring type

Ring 형

- IBM에서 생산한 토큰링 장비의 형태

- Ring 형태로 순차적 통신을 진행하기 때문에 데이터간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 보내야할 데이터가 있을때, 순서가 올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통신 효율성이 떨어진다

- Ethernet 의 등장이후 사용하지 않는다

 

3) Star type 

Star 형

- 네트워크의 확장과 유지보수가 쉽다

- 장애 발견이 용이하고, 장애를 빠르게 처리할수 있다

- 중앙 집중식 구조이기 때문에, 중앙 시스템이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이 마비된다

- 사용자가 증가되면, 트래픽또한 증가되어 속도 저하 현상이 나타난다

 

구분 장점 단점
Bus type ( 버스형 )

º 설치가  용이

º 저비용 케이블 설치

º 특정 노드의 고장이 다른 노드에 영향을 주지 않음

º 재구성이나 결합 분리에 어려움 존재

º 노드간 동시 통신 불가능

º 버스 케이블에 결함이 생기면 모든 노드 통신 불가

º 노드가 증가될수록 네트워크 성능 저하

Ring type ( 링형 )

º 단순한 구조이며 설치와 재구성이 쉬움

º 장애가 발생한 노드를 쉽게 찾을수 있음

º 노드가 증가해도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음

º 단일 토큰링에서 한번에 하나의 노드만 데이터 전송

º 단방향 전송이므로 결함 발생시 네트워크 중단

º 새로운 노드 추가 어려움

Star type ( 성형 )

º 유지보수가 용이

º 한 노드의 고장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음

º 확장 용이

º 중앙 시스템 고장시 전체 시스템 마비

º 고액의 설치비용

º 통신량 증가시 전송지연 발생

º 네트워크 노이즈 발생

Mesh type ( 망형 )

º 각 노드가 별도의 케이블로 다른 노드와 연결

º 하나의 케이블이 고장나도 네트워크 계속 작동

º 각 노드마다 자신을 제외한 노드수만큼 케이블 연결 필요

º 많은 네트워크 구성 비용 요구

 

2. CSMA/CD

- Ethernet ( 이더넷 ) 에서 사용하는 통신 방식으로, Bus 형 토폴로지를 사용한다.

- 버스에 연결된 통신 주체들이 동시에 통신을 하게되어 발생하는 충돌을 방지

- 연결된 케이블의 전송신호를 감시(CS) 하고 있다가, 충돌이 없으면 통신하는 방식이다.

 

1) Carrier Sense ( CS )

: 네트워크 자원을 쓰고있는 PC 나 서버가 있는지 감시하는것, 누군가 통신을 수행중이라면 통신이 끝날때까지 대기

Carrier Sense

2) Multiple Access ( MA )

: 전송 방향을 제한하지 않고, 버스에 연결된 모든 노드에게 전부 전기적 신호를 전송

Multiple Access

3) Collision Detection ( CD )

: 충돌이 발생하면, 충돌현상이 사라질때 까지 작업을 중단하고 기다린다

Collision Detection

- 충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전송 효율이 대폭 떨어지기 때문에 통신 케이블을 세심하게 연결

- 충돌이 자주 발생하는 네트워크는 Bridge (브릿지) 또는 Router (라우터) 로 분할하여 사용

- 구현이 매우 쉽고 단순하기 때문에 현재 인터넷에 연결된 네트워크는 대부분 Ethernet 방식으로 구성

+ Recent posts